OS (9) 썸네일형 리스트형 윈도우에서 유료, 리눅스에서 무료인 꿀 유틸리티 5가지 많은 사용자들이 윈도우에서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상당수가 유료로 제공됩니다. 하지만 리눅스를 사용하면 동일한 기능을 하는 무료 대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에서는 유료이지만, 리눅스에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꿀 유틸리티 5가지를 소개합니다.1. 포토샵(Photoshop) vs. GIMP – 강력한 무료 이미지 편집기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은 강력한 기능을 갖춘 대표적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지만, 구독 방식으로 높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반면, 리눅스에서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GIMP(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 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GIMP의 특징포토샵과 유사한 인터페이스 제공레이어, 마스크, 브러시.. Windows에서 키보드로 마우스 왼쪽 클릭하는 방법 Windows에서 키보드로 마우스 왼쪽 클릭하는 방법컴퓨터를 사용할 때 마우스가 고장 나거나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키보드만으로 마우스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키보드를 활용해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고 클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키보드만으로 마우스 왼쪽 클릭을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아본다.1. Windows 설정을 이용한 키보드 마우스 기능 활성화Windows에서는 접근성 기능을 활용하여 키보드만으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따라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① 접근성 설정에서 마우스 키 활성화Windows 설정 열기Win + I 키를 눌러 Windows 설정을 연다.접근성 메뉴 이동왼쪽 .. what is scp in linux? 매뉴얼에 따르면 scp 명령어는 SSH 프로토콜로 접속한 서버의 파일을 복사하는 것이다. 사용법 예시 scp -P[포트번호] [포트계정]@[서버주소]:[파일명] [목적경로(붙여넣기할 디렉터리)] 리눅스 man 만약 내가 file 이라는 명령어의 상세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man file 이렇게 매뉴얼이 나온다. 나가기는 q 리눅스 터미널 사용 중 터미널에 키보드 입력이 안 먹힐 때 터미널 사용 중 키보드를 눌렀는데 다음과 같은 입력어로 대체되어 나온다면? 이럴 때는 지금 사용하는 계정이 방향키를 지원하지 않는 쉘을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현재 사용 중인 쉘을 보자. echo $SHELL 그럼 이렇게 나오는데 이 sh쉘은 방향키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럼 다음과 같이 입력해서 쉘을 변경하자.(change shell) chsh (난 아까 이미 바꿔서 Login Shell에 [/bin/bash]로 나온다. 변경 전에는 [/bin/sh]로 나옴.) 한 가지 참고할 점은 바로 적용했다 해서 그 상태에서 바뀌는 게 아니다. 한번 로그아웃하고 재실행해야 잘 적용이 된다. 끝. 리눅스 일반 유저에 루트 권한 부여하기 1. vi 에디터를 sudo 권한으로 열고 sudoers를 편집한다. (경로는 홈 디렉터리 기준으로 etc 파일에 존재하니, sudo vi /etc/sudoers 를 입력하면 된다.) 2. root ALL=(ALL:ALL) ALL 밑에다가 (유저명) ALL=(ALL:ALL) ALL을 적어준다. 3. 다 적었으면 저장하고 나온다 그런데 vi 에디터에서 ESC키를 누르고 :를 누르고 저장하고 나가기 입력어인 wq를 눌렀더니 저렇게 오류가 뜬다. 이럴 때는 강제 저장 및 종료를 의미하는 wq!를 입력해주면된다. 끝. 리눅스 숨김 파일 만들기 내가 어떤 파일을 생성하고 싶은데 숨기고 싶다 하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보자. 파일명 앞에 .을 붙이는 거다. 그럼 현재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을 보여주는 ls를 입력해보자. 아무것도 안뜬다. 그럼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 보여주는 옵션인 -al을 붙이면? 이때는 보여준다. 그러니 완전히 안 보이는 건 아니란 말씀. 숨김 디렉터리 만들 때도 동일하게 디렉터리명 앞에 "."붙이면 된다. つづく... 리눅스 공백이 있는 파일 만들기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공백이 있는 파일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일반적인 방법인 touch로 한 번 생성해보자. "I"라는 파일 "Mojito"라는 파일 "am"이라는 파일이 각각 생성되었다 ㅋㅋㅋ 이럴 때 방법이 바로 띄어쓰기를 구분해 주는 역 슬래쉬('\')를 띄어 쓰고 싶은 부분 사이사이에 넣어주자. 그럼 컴퓨터가 "아 이건 띄어쓰기할 건가 보다."라고 인식한다. 요로코롬. つづく... 이전 1 2 다음